디지털 서명
2. 디지털 서명 및 검증 과정에 대한 정리
2. 디지털 서명 및 검증 과정에 대한 정리
2020.01.022020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저는 다시 새마음으로 공부한 내용을 열심히 정리하고 성실히 게시활동 하려 합니다. 모두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지난 시간에는 Hash 함수를 통해 공개키, 비밀키 생성에 관한 내용을 살펴보았습니다. 가장 중요한 내용을 축약해보자면 해시함수는 임의의 길이의 데이터를 고정된 길이의 데이터로 매핑하는 함수이다 해시값으로부터 원본 데이터 값을 다시 추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불가역성, 일방향 함수라고도 한다고 했습니다.) 입력값(원본 데이터)이 한 개라도 바뀌면 전혀 다른 해시값이 출력된다. (눈사태 효과) 출력값(해시값)은 입력값(원본 데이터)의 길이와 관계없이 항상 고정된 길이를 출력한다. 이를 토대로 공개키 암호에 대한 간단한 개념정리까지 했습니다. 이번에는 이 공..